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DBMS : DataBase Management System)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도구의 집합체이다. 데이터 집단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 위에서 작동되며, 데이터베이스의 생성과 조작을 담당한다.
※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DBMS)의 필수 기능
- 정의(Definition Facility) :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정의하는 기능이다. 즉,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, 물리적 구조와 구조 사이의 사상관계(Mapping)를 정의한다. 또한 데이터베이스와 응용 프로그램이 서로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.
- 조작(Manipulation Facility) : 사용자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도구로서 사용자(응용 프로그램)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기능이다. 만들어진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삽입, 삭제, 갱신, 검색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.
>>조작 기능은 사용자,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도 쉽게 이용하기 위해 자연어 형태에 가까워야 하며 단순해야 한다. 또한 정확하고 명확하게 명시할 수 있어야 하며 데이터의 접근 방법이 효율적이어야 한다.
- 제어(Control Facility) :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 유지, 보안 및 권한 제어, 시스템 장애에 대비한 데이터 회복(필수는 아님)과 병행 제어 (동시성 제어)등을 하기 위한 언어이다.
>>제어 기능에서 보안 및 권한 제어는 사용 권한이 없는 외부로부터 침입 햅위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식별과 액세스에 대한 권한 검사로 데이터를 보호해야 한다는 말이다. 또 무결성(Integrity)은 정보에 결점이 없도록 유지하는 성질로, 사용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가 갱신되고 조작되는 과정에서 그 데이터가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해야 한다는 뜻이다. 제어 기능은 동시성 제어(Concurrency Control)가 되어야 한다. 동시에 여러 개의 작업에 대해 올바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감시, 감독해야 한다.
※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(DBMS)의 장단점
#장점
-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.
- 데이터의 무결성 및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.
- 데이터를 표준화시켜 관리할 수 있다.
- 통합적 데이터 관리로 일관성 유지가 용이하다.
#단점
- 데이터는 정적인 상태가 아닌 동적인 상태로 시스템은 계속 돌아가기 때문에 구축 비용이 많이 든다.
- 예비(백업)와 회복 절차 수립이 어렵다. (데이터 파괴에 대한 회복이 어렵다.)
- 하나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줘 취약성이 있다.
※기존 파일 처리 시스템의 문제점
데이터베이스와 기존의 파일 처림 시스템의 차이점은 데이터의 종속과 중복 문제이다.
- 데이터의 종속성 : 논리적 데이터 구조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종속 관계를 말한다. 하나의 데이터 구조를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이 독립적으로 관리한다.(1:1) 때문에 데이터 구조나 접근 방법이 변경되면 응용 프로그램도 변경해야 된다.
- 데이터의 중복성 : 같은 내용이더라도 구조가 다르면 데이터를 중복시켜 저장 및 관리해야 한다.
>>데이터의 중복성으로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와 무결성 유지가 어려워 진다. 중복 저장으로 기억 장소가 낭비되고 비용이 많이 든다. 또, 같은 데이터에 대해 같은 수준의 보안 유지가 어렵다.
'IT공부 > 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데이터베이스(DB : Data Base)의 개념 (0) | 2020.11.25 |
---|---|
정보 시스템 (IS : Information System) (0) | 2020.11.23 |